항암면역세포 이뮨셀LC치료가 암세포를 파괴하는 과정
1. 암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항원을 이용해 암세포를 파괴
활성화 T 림프구(activated T cell; Tc cell)는 MHC class-I 제한된 방식으로 암세포를 인식하여 암세포를 파괴합니다. 반면에 사이토카인 유도 살해세포(cytokine induced killer cell: CIK)는 NK 세포와 동일한 방식인 non MHC-제한된 방식으로 암세포를 인식하여 파괴합니다. 암세포를 일단 인식하면 암세포에 최대한 근접한 후 페포린과 그랜자임 두 효소를 암세포에 방출하여 암세포의 세포벽에 구멍을 내어 파괴하고, 암세포의 자살을 유도합니다. 일반적으로 항암작용이 CIK 세포가 NK세포나 LAK세포보다 강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2. 과립을 이용하여 암세포를 파괴
암세포와 만나기 전에 과립은 후미에 존재하다가 점진적으로 T-세포 앞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암세포와 만나자마자 2분 내에 T 세포는 암세포를 잡아서 과립이 암세포 내로 침범하기 시작합니다. 10분 후 T-세포는 암세포 내로 과립의 내용물을 넣어서 암세포가 파괴하게 만듭니다.